왼쪽이미지
            오른쪽 이미지

            고창읍성

            Home > 선운산관광 > 고창읍성

            고창읍성

            외침방어를 위해 축성한 고창읍성
            고창읍성은 조선 단종 원년(1453)에 외침을 막기 위하여 전라도민들이 유비무환의 슬기로 총화 축성한 자연석 성곽입니다.

            일명 모양성(牟陽城)이라고도 하는 이 성은 나주진관의 입암산 성과 연계되어 호남 내륙을 방어하는 전초기지로 만들어 졌다. 1965년 4월 1일 사적 제 145호로 지정된 이 성의 둘레는 1,684m. 높이 4~6m 면적은 165,858㎡ (50,172평)로 동.서. 북 문과 3개소의 옹성 6개소의 치성(雉城)을 비롯하여 성밖의 해 자(垓字) 등 전략적 요충시설이 두루 갖추어져 있다. 축성 당시 에는 동헌과 객사 등 22동의 관아건물이 있었으나 병화로 소진 된 것을 1976년부터 성곽과 건물 14동을 복원·정비 하였다.

            고창읍성의 축성연대에 대하여는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고창 읍성의 관아건물 보수시에 나타난 상량문과 각종 문헌 및 성돌 에 새겨진 글자들을 보면 이 성은 조선 세종 32년(1450)부터 단종 원년(1453)까지 전라좌우도 19개 군·현에서 구간별로 분 담하여 축성한 흔적이 성벽 구간마다 각자(刻字)되어 있는데, 그중에는 무장시면(茂長始面)·무장종(茂長綜)이라는 흔적이 있으며, 동문옹성성벽에는 계유소축감동송지민(癸酉所築監董宋 芝玟)이라는 글씨가 남아 있어서 이를 해석해 보면, 고창읍성 이 계유년에 축조되었으며 무장현이 축성에 참여했다는 증거라 고 볼 수 있다.

            고창읍성에 관한 기록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고창현성곽조(高敞縣城郭條)에 처음 나타나고 있는데 신증동국 여지승람은 중종 25년(1530)에 간행했으나 단지 증보처에 신증 이라는 두 글자만 표시하였으므로 성종때 왕명에 의하여 김종 직 등이 동국여지승람의 제 2차 수정을 거쳐 탈고한 성종 17년 (1484)이전의 계유년으로 축성연대가 압축된다 할 수 있으며 무장현은 태종 17년(1417)에 무송현과 장사현을 통합하여 무장 현이 되었으므로 계유소축의 계유년은 1417년 이후의 계유년이 되므로 고창읍성은 1453년의 계유년에 축성된 것이 확실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돌을 머리에 이고 성을 밟으면 병이 없이 오래살고 저승 길엔 극락문에 당도한다는 전설때문에 매년 답성행사가 계속되 고 있다. 성밟기는 저승문이 열리는 윤달에 밟아야 효험이 있다고 하며 같은 윤달이라도 3월 윤달이 제일 좋다고 한다. 그중 에서도 엿샛날이 저승문이 열리는 날이라고 하여 초엿새, 열엿 새, 스무엿새 날에 답성행렬이 절정을 이루고 있다.

            성을 한바퀴돌면 다릿병이 낫고 두바퀴돌면 무병장수하며 세바 퀴돌면 극락승천한다고 한다. 성을 돌때는 반드시 손바닥만한 돌을 머리에 이고 세번 돌아야 하고 일정한 지역에 그 돌을 쌓 아두도록 하였다. 특히 윤삼월의 효험을 강조하고 있음도 겨우내 부풀었던 성을 밟아 굳게하기 위함이었을 것이고 머리에 돌을 이게 함으로서 체중을 가중시켜 성을 더욱 다지게하는 의도에서 였을것이다.

            성밟기를 한 후 머리에 이고온 돌을 일정한지역에 쌓아놓게 한 것은 유사시 석전(石戰)에 대비하기위한 유비무환의 예지라 생 각된다. 우리는 이러한 민속놀이를 통해 우리조상의 슬기를 엿 볼 수 있을뿐만 아니라 백성들의 동원을 강제하지 않고 스스로 참여시키는 독특한 우리문화의 양상을 엿볼 수가 있다.

            • (585-931)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인천강변로 318 (계산리 403-14) / 전화 : 1544-1589, 063)564-5008
              팩스 : 063)564-5078 / 사업자등록번호 : 404-82-05805 / 통신판매신고번호 : 고창군 제05-15호
              대표자: 조합장 김기육 / 개인정보 보호책임자(CPO) : 이용춘
              Copyright(c) 선운산농협 복분자가공사업소 All rights reserved. 모바일버전